최고 엘리트들의 몰락 이름: 후안강(胡鞍鋼) 직업: 중국 칭화대 교수 나이: 65세 기사내용: (前略)후 교수는 한 포럼에서, '중국이 경제 실력, 과학기술은 물론, 종합 국력에서도 이미 미국을 넘어섰다'고 주장함. 올 3 월 중국 관영 CCTV 다큐멘터리는 시진핑의 집권 5년 치적을 자랑했는데, 얼마 뒤 전인대와 정협.. 기본2 2018.08.06
우리가 사는데 필요한 것은 유치원에서 다 배웠다 관련 도서 ‹Robert Fulghum's All I Really Need to Know I Learned in KindergartenRobert FulghumWhat on Earth Have I Done?Robert FulghumMaybe (Maybe Not)Robert FulghumUh-OhRobert FulghumIt Was On Fire When I Lay Down On ItRobert FulghumFrom Beginning to EndRobert FulghumFrom Beginning to EndRobert FulghumWhat On Earth Have I Done?Robert FulghumUh-hoRobert FulghumSelected fro.. 기본2 2018.08.04
자연선택설 (自然選擇說) 1. 생후 몇 달 남짓한 유아는 누가 자기를 쳐다보면 방긋 웃음을 지음으로서 들여다보는 이로 하여금 따라서 웃게 만듭니다. 이처럼 남이 쳐다볼 때 웃는 유전자는 생존할 확률이 높고, 안 웃는 유전자는 그렇지 못했다, 인류가 탄생한 이래로 보이지 않는 손이 그런 식으로 유전자를 솎아.. 기본 2018.08.03
도인과 사는 배우자의 삶이란? 소크라테스 (Socrates, BC469 ~ BC399, 壽 70歲 ) - 인류의 성인이라 칭하는 석가모니, 공자, 노자, 소크라테스는 모두 거의 같은 시대에 태어나 살았음 - 소크라테스는 훌륭했다. 그러나 남편으로서는 제로(zero)였다. 어느 날 그 일이 일어나고야 말았다. 소크라테스는 그때 의자에 앉아 있었고 명.. 기본 2018.07.25
알곡과 쭉정이를 누가 심판하는가? 【 A 】내 안에는 '속세'와 '천국(하늘)'이 다 있다! 이건 또 뭔 소린가? 먼저, '속세'라고 한 것은 일상의 삶 입니다. 어쨌든 살아가야만 하는 이 세상살이를 말합니다. 그것은 누가 경영하는 것인가? 당연히 자아 즉 '가짜 나(fake self)'가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 안의 '천국(하늘나라.. 기본 2018.07.11
인체는 육장 육부 (심포,삼초) 인간 몸 속의 생명에너지가 인체의 특정한 길을 통해서 다니면서 영향을 줍니다. 이 생명에너지가 다니는 길을 동양의학에서는 심포, 삼초라 하며 또 상화라 합니다. 오행은 생명이 없는 것에 맞지만 생명력, 상화기운이 있는 인간은 육행, 즉 육기에 의해서 돌아갑니다. 상화를 이해하지 .. 운동과 삶 & 테니스 2018.07.08
바르게 살라 (심판이란 내가 나를 심판하는 것) 전생 또는 금생의 인연, 자신의 내공이 뒷받침되지 않는 부귀영화(富貴榮華)는, 우주 에너지의 균형, 인과의 법칙등 신명계, 인간세상의 내재율을 어기고 깨뜨리는 일이다. 힘든 세상살이란 것이 정녕, 삿된 '끌어당김의 법칙(the law of attraction)' 따위로 이뤄질 수 있다면, 고생하고 노력하.. 기본 2018.07.05
웃는 낯에 침을 좀 뱉았기로서니... 1. 때론 '객기'도 좀 부릴 수 있어야 한다! 사람들과 시비가 붙더라도 '그게 뭐 대수랴?' 그런 생각을 할 수도 있지 않나? 매사 소심한 사람한테 일러주는 말인데, '길거리에서 남의 장기판 훈수를 두다가 귀싸대기도 얻어 맞을 수 있는거지...' 살다보면, 그럴 수도 있다는거지 뭐...ㅋ 2. '웃.. 기본 2018.07.03
네 안에 있는 것을 낳으면...(도마복음 중에서) 이런 글을 읽을 때는 글쓴이가 무슨 말을 하는 건지 명료하게 떠오르지 않을 겁니다. 머릿속이 와글와글하고 산만해져 있을겁니다. 도대체 집중이 안된다, 그래서, 진리의 말씀을 들을 때는 흔히 딴 짓을 합니다. 들으면서 하품을 하거나, 옆을 쳐다보거나, 딴 생각을 하며 주의가 산만한 .. 기본 2018.06.23
환자가 있으니 의사가 있는 것 "환자가 없다면 의사가 어찌 있으리오?" 환자와 의사의 경우처럼 상호 뗄레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로 존재하는 것을 가르켜서, - 불가에서는 '연기(緣起)' - 증산선생은 '해원상생(相生)' - 프리초프 카프라는 '상보적(相補的, complementary)이라고 했습니다. 다 같은 말입니다. 대립적인 양.. 기본 2018.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