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관절 연골의 파괴효소 (펌글)

참 나 2019. 5. 13. 00:15

현재, 내 무릎관절염 상태는 작년 6월 하순의 발병(급성)하기 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되었습니다. 지금 운동량은

하루에 두 차례 테니스 벽치기(3시간)를 하고서도 다음날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쭉 안 펴지던 무릎도 발병 전보다

상태가 나아졌습니다. (그 진도는 매우 느리긴 한데, 자전거 탈 때 페달에 힘이 더 붙고 하니...)

과거 1년 동안에 매일같이 붙이고 살아야 했던 '케토톱' 파스도 이젠 안 붙이고 지내는 지가 한 달이 넘습니다. 

이제부터의 방향은, '만성'관절염을 완전히 치료해서 건강하고 튼튼한 무릎관절로 다시태어 나게 만드는 일 입니다.    

아래 펌글은 관절/ 연골파괴 효소'에 대한 언급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임상/의학적인 연구/조사의 뒷받침이 잘 되어

있습니다.  인연과 형편이 닿는 사람들은 참고하시고, 정형외과 의사들 조차 치료가 어렵다는 만성/퇴행성 관절염의

치료, 특히 예방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상어연골의 황산 콘드로이친은 단지 ECM 조성을 넘어, 관절 분해 효소를 차단함으로 관절에 도움을 준다. 특수 영역 / 건강식품 리뷰

2019. 4. 2. 10:27

복사 http://blog.naver.com/tasmanic/221503383934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황산 콘드로이친은 퇴행성 관절에 좋다고 하여 의약품이나, 상어연골분말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많이 찾는 원료입니다. 그 이유는 연골조직의 ECM(연골세포 주위의 기질)을 이루는 프로테오글리칸(어글리칸)의 구성물로 황산 콘드로이친이

쓰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어글리칸 구조의 붉은색 빗살 모양이 황산 콘드로이친이며, 이러한 공간 차지가 물을 머금어 연골을

푹신하게 만들게 됩니다.



In conclusion, both CS-SC and CS-PC prevent cartilage destruction due to the suppression of gene expression of

상어/돼지 연골에서 추출한 '황산 콘드로이친'은 연골파괴 효소를 억제하고, 연골의 재형성을 촉진한다.  
ADAMTS-4 and -5, and MMP-13, and promote cartilage remodeling through the up-regulation of aggrecan core protein
expression. In addition, CS-PC increases the TIMP-1 production and TIMP-3 mRNA, resulting in further inhibitory

게다가, 돼지연골 추출의 황산콘드로이친은 TIMP-1생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우리는 이상과 같은 황산콘드로이친의

역할이 synovial fibroblasts(활막섬유모세포)에서도 발휘되는 것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 골관절염과 퇴행성관절염에

다양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effect on MMPs and aggrecanase activities. Furthermore, we provide the first evidence that some of the above actions of
CS are also exerted in synovial fibroblasts. Therefore, CS probably modulates functions of both chondrocytes and synovial
fibroblasts, and thereby exerts multifunctional chondroprotective action in degenerative arthritic diseases including OA.


이와 같은 연구로, 크릴 오일의 오메가3가 단지 염증 억제, CRP 저하등의 기전으로 관절에 도움될 뿐만 아니라, 연골 세포를 직접
튼튼하게 하여 오래 유지하게 하는 방법으로도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전체를 약한 그림입니다. 오토파지는 위 링크로 따로 설명을 하였지만, 세포자살에 관해서는 추후 별도의 글로 풀이를 할 예정입니다.



실제로는 아래와 같이 모여있습니다. 중앙의 굵은 뼈대가 콜라겐이고 그 주위에 음전하를 많이 갖는 ECM이 히아루론 곁가지에 붙어서 존재합니다.


 


참고로 연골을 이루는 구성물들의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런데 어글리칸의 구성물로만이 아닌, 어글리칸을 분해하는 효소들(위 그림의 오른쪽 붉은 색 부분)을 차단함으로써도 관절 건강에 도움된다는

연구가 있어서 소개합니다.어글리칸을 분해하는 효소는 이름 그대로 Aggrecanase라고 하며, ADAMTS-4와 ADAMTS-5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어글리칸과 함께 ECM을 이루는 성분이 바로 2형 콜라겐인데, 이를 분해하는 효소는 Collagenase라 하며, 대표적인 것이 MMP-13 (위 그림의

왼쪽 붉은 색 부분)입니다. 황산 콘드로이친이 함유된 연골 성분은 상어연골 (CS-SC)과 돼지연골 (CS-PC) 두 가지를 사용하였습니다.


첫 번째 결과는 인터루킨 1-베타로 연골세포(Chondrocyte)를 자극하여 ADAMTS 두 가지를 나오게 하였고, 상어연골과 돼지연골 3가지 농도별로

얼마나 ADAMTS를 억제하는 지를 보여줍니다.



아래 두 번째 결과는, 가장 위가 어글리칸의 코어 단백질 (맨 위 그림, 붉은색 황산 콘드로이친들을 히아루론 줄기에 붙어있게 하는 곁가지)을

연골의 각 농도별로 얼마나 많이 만들어, 어글리칸 구조를 튼튼하게 하는지이며, 중간은 인터루킨1로 높아진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3을

얼마나 억제하는지, 가장 밑은 인터루킨1의 관절염 유도로 낮아진 TIMP-3 (관절 보호인자)를 얼마나 올리는가 입니다.



위의 결과는 관절염 유도를 연골 세포인 콘드로싸이트에 인터루킨1을 적용한 것이며, 아래는  관절낭의 섬유아세포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실험을 하

였습니다. 첫 번째는 ADAMTS 두 가지 억제 정도입니다.



아래는 관절 보호 인자인 TIMP-1의 증가되는 정도입니다.


상어연골보다 돼지연골이 약간 더 좋게 보이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황산 콘드로이친이 많이 함유된 상어연골이나 돼지연골은 단지 ECM의 구성물로서만이 아니라 연골을 파괴하는 효소들을 차단하고,

연골 보호인자인 TIMP를 늘림으로써도 관절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www.jstage.jst.go.jp/article/bpb/33/3/33_3_410/_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