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소화샘 digestive gland
1. 간 liver
간은 약 1.5kg,이며, 정상상태에서는 우측 갈비뼈 costal arch 밑으로 내려오지 않는다.
■ 간문맥
여러 소화관에서 흡수한 영양분을 받아들이는 정맥이다.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비장, 췌장과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영양소가 흘러 들어오는데, 간문맥의 혈류는 전체 간혈류의
약 80%에 달한다.
기능
① 영양소 가공, 저장
위와 창자에서 흡수된 영양소들은 일단 간으로 운반되며, 다양한 물질로 가공되어 다른 기관으로 보냄.
영양소를 저장하여 음식을 먹지 않았을 때 전신 세포에 일정하게 공급해 주는 저장고 역할을 함.
② 단백질 생산
혈액속에는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있는데 약 90%는 간에서 만들어지는 것임.
알부민, 피를 멎게하는 단백질 등을 만드는 일은 매우 중요함.
③ 약물, 해로운 물질 해독
몸에 들어온 각종 약물과 해로운 물질은 해가 적은 물질로 바뀌어 소변 또는 쓸개즙을 통해 배설함.
④ 담즙 생산
담즙을 생산하고 분비(하루 500~600cc)함. 소화효소는 없음. 담즙산염 bile salt은 지방을 유화시켜서 지방소화효소인 리파제 lipase가 잘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적혈구 사체인 빌리루빈을 흡수하여 담즙으로 방출해 변의 색을 띠게 만듬. 이때, 배출이 막혀서 혈중농도가 높아지면 황달 jaundice이 되는 것임.
⑤ 면역 기능
혈액 저류가 풍부, 혈류량의 생리적 변화에 대응하여 스폰지처럼 소위 '쿠션'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2의 심장으로 불리기도 함.
간에는 Kupffer 세포로 불리는 탐식세포가 분포하여 소위 '세망내피계' *의 일부로 중요한 면역기능을 담당함.
* 인체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세포집단이 모여서 이루고 있는 시스템으로서, 간을 비롯해서 림파선, 골수, 뇌, 신장, 소장 및 대장의 점막층 등 인체 내 여러 군데 위치하고 있다.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는 골수의 단핵세포로부터 파생되지만 간에서는 Kupffer 세포, 신장에서는 mesangial 세포 등으로 각 장기마다 특징적인 명칭으로 불리고 있음.
2. 담낭 및 담도 gall bladder & biliary tract
담낭은 간의 오른엽 아랫면에 밀착하며, 길이 7~10cm, 폭 약 2.5cm, 용량 30~50ml정도로서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저장하고, 수분을 흡수해서 최대 10배까지 농축시켜 저장하다가, 수축하여 담낭관 cystic duct을 통하여 총담관 commom bile duct으로 보내는 작용을 한다.
3. 췌장 pancreas
내, 외분비 작용을 모두 다 함께 갖춘 큰 소화샘임. 무게 70g 정도.
기능:
췌장액을 분비하는 샘조직사이에는 췌장의 내분비샘을 이루는 세포들이 일정한 배열없이 뭉쳐 있는데 이들 내분비세포들의 집단을 랑게르한스 섬 island of langerhans이라고 한다. 외분비샘보다 분량이 훨씬 적고 약 100만게가 췌장 내에 흩어져 있으며 알파, 베타, 감마 세포로 구분되며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가 약 75%로 가장 많다.
췌장의 외분비샘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는 하루에 약 1200ml가 되며 여기에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trypsin,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amylase, 지방을 분해하는 lipase등이 있다.
내분비샘 에는 탄수화물 대사에 필요한 insulin(베타세포), glucagon(알파세포), somatostatin(감마세포)등 호르몬이 분비된다. 따라서 insulin이 결핍되면 혈당이 높아져서 당이 오줌으로 나오는데 이를 당뇨병 dibetes mellitus이라 한다.
Glucagon은 인슐린과는 반대 작용을 한다.
------------------------------------------------------------------------------------------------------------------------------------------------------------------------------
■ 위장 에서의 소화
위액의 분비: 자율신경과 호르몬 조절로 나뉜다.
- 소화시와 소화휴지기로 나뉘는데, 소화시는 3가지의 형태로 나눈다.
· 뇌상(정신) : 미주신경을 통한 반사성으로 조건반사에 의한 정신상(phase)과 무조건반사에 의한 중추신경 분비상의 두가지가 있다.부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많은 양의 위액을 분비하기는 하나 오랜 시간 지속되지는 않는다.미주신경자극은 소화효소가 많은 위액을, gastrin에 의한 자극은 HCl이 많은 위액을 분비한다.
· 위상 : 음식이 위에 들어가면 지각신경이 중추신경을 자극하고, 부교감신경의 흥분에 의해 위벽의 기계적 자극(확장) 및 위액분비, 음식물속의 단백질, 알콜 등에 의해 위벽이 직접적으로 자극받아 gastrin(위액분비촉진 호르몬)을 분비한다. gastrin에 의한 위액분비는 양은 적으나 지속적이다.
· 장상 : 음식물이 십이지장이나 공장으로 들어가도 위액은 계속 분비된다. 단백성의 소화산물에 의한 십이지장 점막내에 gastro-secretin이라는 물질이 생산되어 순환계를 거쳐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위액의 성분: 물, 점액, 무기질, 효소, 염산
A.염산의 기능
1. 펩신을 최적 pH에 맞도록 해 준다.
2. 펩시노겐을 활성화시켜 펩신으로 하여 단백질을 소화한다
3. Colloid상 Fe(OH)3를 쉽게 환원되도록 한다.
4. 이당류를 약간 분해.
5. 십이지장에서 세크레틴의 분비를 자극.
6. 소독및 살균작용으로 소화관 내의 세균침입을 방지.
B.위의 기능
8. 소화된 음식물이 장관으로 이동하기 전까지의 저장고.
9. 소화효소가 들어있는 위액분비.
10. 위의 운동에 의해 위 내용물을 위액으로 잘 섞고, 잘게 부순 후에 십이지장으로 이동하기 좋게 한다.
11. 내인자 (intrinsic factor) 를 분비.
12. 물, 알콜 등을 흡수.
* 소장에서의 소화
-배의 오른쪽에서 대장과 연결된 5~6m의 기관으로, 상부에는 십이지장(약 25cm),공장(소장의 약 2/5를 차지)으로 나누어지고, 회장이 이어져있다.
-공장 및 회장의 안벽에는 많은 수의 윤상이 있고, 결막의 표면에는 무수한 섬모가 있다.
-점막아래의 근간층에는 신경총이 있어 지각, 연동, 소화액의 분비등을 지배한다.
-탄수화물 : 췌장에서 분비되는 아밀라제에 의해 이당류까지 소화된다.
-단백질 : 위에서 펩신에 의해 peptone 및 proteose로 분해되면서 시작 - 췌장액중의 단백질 분해효소인 trypsin, chymotrypsin, carboxypeptidase등은 모든 단백질을 peptone 및 proteose로 분해 - 이들은 dipeptide로 분해하며 - dipeptide를 각각의 아미노산으로 분해한다.췌장선에서 분비되는 여러 종류의 효소(erepsin)의 작용으로 남아있는 tripeptide 및 dipeptide는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지방 : 십이지장에서 담즙산염이 지방분자의 큰 집합체를 유화하여 지방분자를 분리하며 시작 - 췌장에서 분비된 리파아제는 각각 지방분자를 지방산과 glycerol 및 glyceride로 분해된다.
* 췌장(pancreatic secretion)에서의 소화
-췌액은 고농도의 HCO3-을 함유함으로써 위에서 넘어온 음식물의 산도를 중화시킨다.
염산, 펩신에 의한 십이지장 점막의 손상을 방지. 알파-아밀라제, 리파아제, 트립신과 같은 주요 소화효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
문에 타액이나 위액속의 효소와는 달리 정상적인 소화 및 흡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담즙 생성, 분비
· 소화기의 활동이 떨어지는 상태에서는 oddi괄약근이 닫혀 담즙이 담낭에 저장되어 있고, 이때 담즙의 수분이 흡수되어 담즙은 농축되며, 담낭담즙이 되고, 식사를 하면 oddi괄약근이 이완하여 십이지장 점막으로부터 분비되는 소화호르몬 콜레시스토키닌이 담낭을 수축시키고 담즙은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 담즙은 담즙색소 및 담즙산염, 콜레스테롤, lecithin 및 무기염 등을 포함하는 알칼리성 액체(pH7.8 ~ 8.6)다.
· 지방이나 육류를 섭취할 때 담즙의 분비가 증가하고 공복시에는 분비가 감소한다.
· 췌장에서 담즙분비를 억제 : 담즙산과 염류, 세크레틴, 고지방, 고단백, 저당질식이, 교감신경자극, 탈수, 마취제 등.
· 담즙(bile)의 생성과 분비는 간에서의 담즙생성과 분비성, 담낭내에서의 담즙의 농축, 담낭의 수축, 십이지장벽의 긴장의 oddi(유두의 경부에 있는 괄약근)괄약근의 저항 등의 중요한 작용을 한다.
-담즙의 성분 : 간에서 생성, 하루에 500~800ml를 분비.
간에서 바로 분비된 간담즙, 총담관안에 있는 담관담즙, 담낭내에 저장되어 있는 담낭담즙이 있다.
담즙산, 담즙색소, 지질, NaCl, NaHCO3, Ca등의 무기염류, 기타 소량의 CO2, NH3, 요소 등을 포함한다.
-담즙의 소화작용
지질을 유화시키고 췌장의 리파아제 작용을 도와주고 소화된 지방산을 물에 잘 녹게 하여 소장에서의 흡수를 돕는다.
· 지방의 소화를 촉진 - 담즙산의 염류는 표면활성 친수성이 커서 지방을 유화시키고 리파아제의 작용을 받기 쉽게 한다.
· 지방의 흡수를 촉진 - 지방산과 micelle형성을 하여 수용성의 복합체를 만들고 지방산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촉진
· 철분, 칼슘의 흡수를 촉진
· 가벼운 설사작용
· 담즙산은 장과 간순환에 의한 담즙의 생성분비를 촉진
· 장관안에서 부패를 방지
· 간에서 대사된 노폐물의 배설 - 담즙색소, 콜레스테롤, 호르몬, 독물, 약물 등을 배설
'운동과 삶 &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똥, 색깔 (펌) (0) | 2010.10.08 |
---|---|
자율신경 실조 (0) | 2010.09.30 |
'킬레이트 미네랄'의 월등한 소화흡수율 (0) | 2010.09.14 |
노년기의 건강 (0) | 2010.09.08 |
건강 체크 리스트 (0) | 2010.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