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 실조(失調)
■ 중추신경: 내 몸을 내 마음대로 움직일 때, 즉 내 몸의 '운동행위' 에 관련되는 동물 신경체제
■ 자율신경: 내 의지대로 안되는 오장육부의 움직임에 관련되는 식물 신경체제.
음식물 소화, 심장박동, 숨쉬는 일, 호르몬 분비와 신진대사에 직결됨.
a. 교감 신경 - 흥분상태 (낮 동안의 긴장과 스트레스, 전투, 힘든 일/ 운동, 근심/걱정/짜증) 에서 활성화.
혈관을 수축(폐쇄)시켜 피부혈관, 소화기관의 기능을 '올-스톱'시킴.
혈압상승, 호흡촉진, 침이나 땀의 억제, 소화기능이 중단됨.
호르몬 '아드레날린 (=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
b. 부교감신경 - 휴식상태 (밤 동안의 편안한 상태) 에서 활성화.
내장기관의 혈관을 확장시켜 소화기능, 심장박동기능, 호흡기능 등을 원활하게 함.
(웃음, 산책, 담소, 명상, 단전호흡, 사랑과 평화, 깊은 잠). 호르몬 '아세틸콜린' 의 작용
* 교감신경의 흥분상태가 지속, 어느 정도를 넘게되면 불면증 (또는 기면증), 소화불량 (또는 소화항진)
빈맥 (또는 지나친 서맥) 신체 감각상실이 생김. '자율신경'이 제멋대로 움직여, 여러 신경성 질환의 원인이 됨.
■ 자율신경 실조의 원인
a. 두뇌의 신경전달물질 (뇌하수체 호르몬) 생성 부진. ex. 우울증은 세로토닌 호르몬의 부족.
b. 세포막 호르몬 수용체의 감수성 저하
c. 자율신경 조절체계(system)의 이상발생으로 신경계에서 과민반응 또는 무반응/무기력
일단 실조된 자율신경 체계가 정상으로 돌아오려면, 생활패턴을 개선해야 하는데 1년간 정도의 피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함. 종합비타민 복용은 필수사항. 하루 7시간 이상의 충분하고도 규칙적인 수면습관.
하루 7~8천보의 걷기운동 (즐겁게)
손톱 밑 양측코너(체했을 때 따는 부위)을 이쑤시개 같은 뾰족한 도구로 꾸준히 1~2개월 자극하는 방법.
'두뇌'가 필요로 하는 산소*가 부족하면 (=두뇌사용, 심박동/혈압 저하, 혈류 부족) 인체 자율신경은 위와 장의 연동운동(=소화기능)을 줄여버리고, 우선적으로 뇌쪽으로 향하는 혈류를 증가시키게 됨.
(*두뇌는 인체혈류의 20%를 소비하는 제일 큰 수요처임)
--------------------------------------------------------------------------------------------------------------------------
http://blog.naver.com/york02/90091830975 자율신경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월간 '암' 2009.10월호
'운동과 삶 &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큐텐 (Co Q-10) 이란? 특히 여자한테 도움된다. (0) | 2010.11.05 |
---|---|
똥, 색깔 (펌) (0) | 2010.10.08 |
인체 소화액 분비 기관 (0) | 2010.09.16 |
'킬레이트 미네랄'의 월등한 소화흡수율 (0) | 2010.09.14 |
노년기의 건강 (0) | 201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