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삶 & 테니스

위산결핍증, 저염산증- Betaine(베타인) HCl 복용

참 나 2010. 11. 6. 12:49


 

■ 저산증 (hypo-chlorhydria) 위산결핍증 위산부족증


위산과다, 위염, 위궤양 등에 대하여는 어느정도 알고 있으나 '저산증' 이란 말은 생소할 것입니다. 

그러나, 소화 장애의 흔한 원인이 바로 이 '저산증(低酸症)'이다, 좀 더 심하게는 무산증(無酸症, a-clorhydria)이다,  

위장 '벽세포'에서 위산이 잘 만들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 만성위염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며, 인체노화 또는 

유해물질이 위 '벽세포'를 파괴하여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 위장에서의 염산분비가 감소되거나, 없어짐으로 인하여,

건강에는 매우 나쁜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먹은 음식을 잘 소화시키는 일은, 위산(胃酸)이 얼마나 충분히 생성 분비되느냐, 또는 공급을 해 주느냐에 달려있다. 

위산이 있을 때, 펩시노겐이 '펩신(pepsin 단백질 소화)'으로 변화됩니다. 단백질의 소화는 적정 체중의 유지를 비롯,

생명활동의 근간이 됩니다. 위산은 십이지장에서 세크레틴의 분비를 자극하는데, 이것은 췌장에서 인체 3대 영양소의

효소를 분비케 합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의 소화를 위하여 필수적인 아밀라제, 프로티아제, 리파제를 말하는

것입니다.  (위산분비 ~> 세크레틴 분비 ~> 췌장에서의 소화효소 분비로 이어집니다)

 
위산의 분비부족으로 인하여 채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은 그 아래 소장,대장에 내려가서 해로운 세균이 증식하도록 

만듭니다. 항문의 가려움증도 생깁니다.  세균이 만들어낸 독소가 혈액으로 들어오면, 간장은 이를 해독하기 위해

고생을 합니다. 좋은 음식을 섭취하더라도  소화, 흡수의 장애가 있다면 세균 독소에 의해 독작용이 일어납니다. 

이로써 두통, 피로감, 고혈압, 복부팽만감. 근육통, 불면증, 성격변화, 안절부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산부족은 내인자(intrinsic factor)의 부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타민 B12 결핍을 초래함으로서 재생불량성 빈혈을 발병시키기도 합니다. 내인자는 Vit.B 12 흡수에 관여합니다. 

저산증은 인구의 약15% 정도에서 발생하고, 몸이 불편하여 의사를 찾는 사람 중에서는 절반 가량이 저산증이다, 

40대에서는 약40%, 60대에서는 50%가 발생합니다. 속이 불편하여 내원하는 환자 가운데, 40대 이상은 거의

전부가 '저산증'입니다(약9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간과하거나 무시 또는 오진(誤診)을 하고 있다, 

그 이유는 '환자의 위산분비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음식을 먹은 후에 위장에서 분비되는 위산을 채취하여 검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1960년대 Heidelberg Machine이 개발되어 해결되었습니다. 이 기구는 비타민 크기의 캪슐로 위산을 측정하여

무선으로 전해주는 장치입니다. 그러나 비용이 비싸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이를 대체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의사의 감독 하에 염산-베타인(Betaine-HCL)을 식사와 함께 복용시킨 후 위(胃)

에서 작열감 같은 뜨겁고 불쾌한 증상이 없고, 더부룩함이나 소화불량 증상이 사라졌다면 저산증으로 확진합니다. 


이런 치료에는 염산 베타인, 염산 굴루탐산 이 있는데 '펩신'이 함유되어 있어야 합니다. 

캡슐로 만들어진 제품이 효과적입니다. (참고: 펩신 함량 165mg, 1:3000 이라면, 그 뜻은 165mg의 3000배인 

495,000mg 즉, 450g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단백질을 소화할 수 있다, 단지 이것은 시험관 내에서의 이론상의

수치일 뿐, 인체 위장 속에서의 소화활동은 수학공식 처럼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적은량 10그레인(gr)짜리 1알(640mg)을 복용한 후에 위장에서의 반응을 주의깊게 살펴보면서 증량하면 됩니다.  

비타민 B12를 주사하고 엽산도 함께 보충하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    ---------------------------------------



■ COMMON SIGNS & SYMPTOMS OF LOW STOMACH ACID: 위산결핍의 일반적 증세


* Bloating, belching, burning and flatulance after meals  식후 더부룩함. 게트름, 속쓰림, 가스참
* A sense of excessive fullness during or after eating  식사중, 식 후 지나친 포만감
* Indigestion, Diarrhea or Constipation 소화불량, 설사나 변비
* Multiple foold allergies 여러음식물에 대하여 알레르기 증세를 나타냄

* Nausea after taking herbs or supplements 약초 복용, 영양보충제 복용시 구토증

 

* ITCHING AROUND THE RECTUM  항문주위 가려움  

* WEAK, PEELING AND OR CRACKED FINGER NAILS 손톱 갈라짐, 약해짐, 껍질벗겨짐
* DILATED BLOOD VESSELS on THE CHEEKS, NOSE AND OR FACE 안면, 코, 뺨의 붉어짐
* ACNE, 여드름   * IRON DEFICIENCY 철분 결핍증 

* CHRONIC INTESTINAL PARASITES OR ABNORMAL FLORA ( BAD GERMS ) 만성적인 기생충 감염

* UNDIGESTED FOOD IN THE STOOL 소화가 안된 변(똥)

 

 

■ WHAT CONDITIONS BENEFIT FROM USING THIS FORMULA  이 처방으로 효과를 보는 증세


* DIGESTIVE CONDITIONS: HEARTBURN, INDIGESTION,  ATROPHIC GASTRITIS,  LOW STOMACH
    ACID PRODUCTION, CELIAC SPRUE  소화기 증상:  속쓰림, 소화불량, Atrophic 위염, 위산분비저하, Celiac Sprue 
* TO IMPROVE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FOOD, HERBS AND SUPPLEMENTS

   음식물과 한약, 영양제 등의 소화와 흡수를 좋게 한다
* CHRONIC SKIN CONDITIONS: ATOPIC DERMATITIS / ECZEMA, PSORASIS, ACNE, ROSACEA, HIVES,

   만성피부질환 DERMATITIS HERPETIFORMIS,

* CHRONIC AUTOIMMUNE CONDITIONS: ADDISON’S DISEASE, GRAVES DISEASE, RHEUMATOID 

  '자가면역 결핍증'  Arthritis (관절염), SJOGREN’S DISEASE, Systemic Lupus(루프스), ERYTHEMATOSUS, VITILIGO
* THYROID CONDITIONS: HYPO OR HYPER THYROID, THYROTOXICOSIS 갑상선 위축, 비대증

* HEPATITIS AND GALL BLADDER DISEASE  간염, 방광질환(과민성)
* CANDIDA INFECTIONS: GASTROINTESTINAL, SKIN, RECTUAL OR VAGINAL 칸디다 감염증: 위장관, 피부 항문, 질염
* HELIOBACTER PYLORI STOMACH INFECTION 헬리코박터 감염증

* DIABETES MELLITUS
* CHRONIC ( PERNICIOUS ) ANEMIA, 만성 대적혈구성 빈혈
* ASTHMA - REDUCES FOOD ALLERGY REACTIONS  천식, 음식물 알레르기 반응을 경감한다
* OSTEOPOROSIS - IMPROVES ABSORPTION OF BONE NUTRIENTS 골다공증 - 뼈에 좋은 영양분의 흡수 향상


CAUTIONS & POSSIBLE SIDE EFFECTS:   부작용 


* SAFE FOR USE DURING PREGNANCY   임산부에도 안심하고 사용가능
* NOT A SUBSTITUTE FOR A PROPER DIAGNOSIS OF DIGESTION AND ABDOMINAL PROBLEMS 소화불량증에는 의사진단을 먼저
* USE WITH CAUTION IF YOU HAVE A HISTORY OF PEPTIC, GASTRIC OR DUODENAL  ULCERS. 위염, 십이지장궤양 경력자는 주의
* DO NOT TAKE WITH PROTON PUMP INHIBITOR / ACID BLOCKING DRUGS. 위산억제제와 병용금지
* DO NOT USE IF YOU HAVE AN ALLERGY TO PORK.  돼지고기에 알레르기 있는 환자는 사용금지

* SAFE FOR LONG TERM USE  장기복용을 할 수 있음 

 

■ CAUSES OF LOW STOMACH ACID PRODUCTION:  위산의 분비가 저하되는 원인


* OBESITY.     비만
* FOOD ALLERGY  음식물 알레르기 (알레르기-위염은 농축시켜 놓은 수소이온을 '벽세포'로 부터 방출시켜서 결국 위산의 농도가 저하됨)   
* CIGARETTE SMOKING    흡연
* DEEP FRIED FOODS   기름에 지지고 볶는 요리
* ALCOHOL   음주    
* COFFEE     커피
* CARBONATED BEVERAGES  탄산음료

(참고: 위산분비를 촉진시키는 자극적인 식생활습관이 위장의 '위산분비' 기능을 저하시킴) 


INGREDIENTS, MODERN AND HISTORICAL INDICATIONS:  성분 및 함량
* BETAINE HYDROCHLORIDE: 10 GRAINS ( 650 MG ). 베타인 염산 650mg
* PURE LACTOSE FREE PEPSIN 1:15,000. 1 GRAIN ( 65 MG ). EQUIVALENT TO 4.5 GRAINS OF PEPSIN. 펩신 65mg
# ORGANIC ZINGIBER OFFICINALIS ROOT ( GINGER ROOT ): DIGESTIVE TONIC, ANTISPASMODIC. 생강뿌리


 

HOW TO DETERMINE YOUR DOSE:  어떻게 복용하는가?


* DO NOT OPEN CAPSULES OR DISSOLVE THEM IN LIQUIDS  약 캡슐을 분해하거나 물 따위에 녹여서 복용하지 말것

1. START WITH 1 CAPSULE  SEVERAL MINUTES  BEFORE OR WITH  A  REGULAR SIZE  MEAL.

     통상적인 식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식사하기 몇 분 전, 또는 식사와 함께 복용함. 


2. ADD 1 CAPSULE BEFORE OR WITH YOUR MEALS UNTIL  YOU FEEL A MILD WARMTH OR

    위장 또는 아랫가슴에 따스한 느낌이나 둔중한 기분이 올 때 까지 1 캡슐씩 늘려 복용하다가 정작 그런 느낌이 오면 다음 식사 때

    1 캡슐을 줄여서 복용함. 5개를 복용해서 뜨거운 느낌이 왔다면 다음 식사 때는 4캡슐을 복용함. 단, 별 뜨거운 느낌이 없을 수 있음

    HEAVINESS IN YOUR STOMACH OR LOWER STERNAL AREA. THEN REDUCE THE NUMBER  OF CAPSULES BY onE.  

    IE: IF 5 FEELS WARM , YOUR DOSE WOULD BE 4 CAPSULES.

 

3. YOU MAY NEED UP TO 4 TO 5 CAPSULES. IT IS OK TO TAKE CAPSULES WHILE YOU EAT.

    캡슐을 4개 또는 5개 (650mg기준) 까지 복용할 수 있는데, 식사 중에 음식과 함께 복용해도 좋음.  
4. SMALLER MEALS REQUIRE A SMALLER DOSE.

   식사량이 적으면 그에 맞춰서 줄여서 복용토록 함.  
5. AS YOUR STOMACH RECOVERS, YOU MAY NEED A SMALLER DOSE. REDUCE ACCORDINGLY.

   위장의 위산분비 기능이 제자리로 돌아옴에 따라서 복용량을 줄이면 되는 것임.   
6. TO IMPROVE YOUR  ABSORPTION, YOU MUST BE CONSISTENT WITH YOUR USE OF BETAINE HCL & PEPSIN.

    소화 흡수능력을 키우려면, 베타인 HCl & 펩신을 꾸준히 복용해야 함.  
7. PEOPLE WITH SEVERE LOW STOMACH ACID PRODUCTION MAY NEED onLY A 1 CAPSULE DOSE .

   위산결핍이 심한 사람도 단지 1캡슐만 복용할 수도 있음.


ADDITIONAL CONSIDERATIONS:   그 외 고려사항
* HELIOBACTER PYLORI INFECTION: HERBAL IBS,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 
* CHRONIC DIGESTIVE UPSET IS USUALLY DUE TO FOOD ALLERGIES, BACTERIAL, YEAST OR PARASITIC INFECTIONS.

   THIS SHOULD BE THOROUGHLY EVALUATED.  만성소화불량은 흔히 음식물 알레르기(=만성 위염), 박테리아 감염,

   효모/기생충 감염일 경우가 많음. 베타인 염산제재을 복용할 때는 충분히 잘 판단해야 함.    

 

 --------------------------------------------------------- 0 ----------------------------------------------------------

    * 생명수약국...저산증 참고자료

                        http://cafe.naver.com/pechnamphen/4319

     ------------------------------------------------------- 0 -----------------------------------------------------------

 

베타인 HCL(염산 베타인)
작성일 : 09-05-19 11:32



염산 베타인(Betaine HCl)



염산 베타인은 위산(염산, HCl) 공급원이다.

염산은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전환시켜 단백질 소화를 돕는다.  또한 세균, 진균의 증식을 방지하고

담즙, 췌장효소의 흐름을 증가시켜 엽산, 비타민C, 베타카로틴, 철분, 칼슘, 마그네슘, 아연의 흡수를 돕는다.

위산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 이로써 위 장관에서의 영양분 흡수가 불량해지고
골다공증, 천식, 습진,

만성 음식물 두드러기, 관절염, 갑상선 장애와 같은 위험이 증가한다.  60세 이상 인구의 30%는 위축성 위염

으로 위산 분비가 거의 없다.  폐경기 여성의 40%는 위산 분비량이 낮다.

저산증(위산 감소)의 흔한 증상

- 더부룩함, 트림, 식 후 즉시 가스  Bloating, belching, burning, & flatulence... immediately after meals.
- 소화불량, 설사, 변비  Indigestion, diarrhea, or constipation.
- 식후 오랫동안 포만감  A sense of fullness long after eating.
- 여러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두드러기) 반응  Multiple food sensitivities
- 보충제 섭취 후 구역질 Nausea after taking supplements.
- 항문 가려움증  Rectal itching.
- 철 및 칼슘 결핍 Iron & calcium deficiencies.
- 여드름 Acne.
- 뺨이나 코 혈관 확장 Dilated blood vessels on the cheeks & nose.
- 만성 칸디다증, 장 기생충 Chronic candida, or intestinal parasites.
- 대변에 비소화 음식 출현 Undigested food in the stools.

위산저하는 위산과다와 증상이 비슷하다.  위산 저하 및 과다에서 모두 위벽 염증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젊은 층은 위산 과다가 많고 50세 이후에는 위산 저하가 많다.

염산 베타인 적응증

1) 치료 목적 적응증

- 호모시스테인 치가 높을 때
- 빈혈 Anemia.
- 천식 Asthma.
- 담석 Gallstones.
- 소화불량 및 가슴앓이 Indigestion and heartburn.
-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 갑상선 질환  Thyroid conditions.
- 유통성 티크(안면 경련: Tic douloureux). ‘틱 둘러루’
- 백반증 Vitiligo.
- 동맥 경화증 Arteriosclerosis.
- 설사 Diarrhea.
- 음식물 알레르기(두드러기) Food allergies.

2) 예방 목적 적응증

- 흡수불량   Malabsorption.
- 골 다공증  Osteoporosis.
- 천식 Asthma.
- 습진 Eczema.
- 만성 두드러기 Chronic hives.
- 건선 Psoriasis.
- 관절염 Arthritis.
- 갑상선 장애 Thyroid disorder.
- 백반증 Vitiligo.

염산 베타인은 위산 치가 떨어진 사람에 한해서 섭취한다. 영양학 지식을 갖춘 의사만이 이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단백질 포함 식이와 함께 5-10 grains (325-650 mg)짜리 정제나 캡슐을 복용한다.
1 grain= 0.064 g = 64 mg

염산 베타인 급원 식품은 알려진 것이 없다. 위장의 벽세포에서 자연 생산될 뿐이다. 위 장내 산도는 강산이다.

염산을 함유한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유일한 방식이다. 알려진 부작용은 없지만 과량을 복용할 때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급성 과용량은 위 내벽 화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복용 후 작열감이 있으면(딱히 없을 수도 있음) 복용을 중단한다. 급성 과용량에 의한 화상은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영양학 전문 지식이 있는 의사의 권유가 없다면 10 grains (1알, 640 mg) 이상을 복용하면 안 된다.

궤양, 위염, 위장관 증상 특히 가슴 앓이가 있는 사람은 복용 전에 영양학 전문 지식 이 있는 의사(nutritionally oriented doctor)와 상의해야 한다. 기타 NSAIDs (일반 소염진통제)나 코티손 유사 약물 복용자, 기타 위궤양 유발 위험이 있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염산 베타인 을 복용하지 않는다. 소아, 임산 수유부, 심한 간질환및

신장질환자는 복용을 피한다. 

---------------------------------------- 0 ---------------------------------------

 

과거에는 위,십이지장궤양 환자는 식사를 조심스럽게 해야 한다고 지적해왔다.

그러나 지나치게 신경쓸 필요는 없다.  몇가지 유의사항을 참고하면서 균형잡힌 식사를 하면 충분하다.

위,십이지장 질환의 식사요법에 대해 심찬섭 순천향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홍원선 울산대 서울중앙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급성위염= 폭식, 폭음, 자극성 음식, 부패한 음식을 섭취했을때 생긴다.  약물을 잘못 복용해도 유발된다.
1~2일 절식하면서 소화가 잘되는 식사를 한다.  중증일 경우에는 하루 동안 금식하고 물도 조금만 먹는다.

급성 증상이 사라지면 과즙 미음부터 먹기 시작해 차츰 죽이나 무른 음식으로 바꾼다. 
밥은 증상이 개선되었을때 먹는다.

<>만성위염= 불규칙한 식사,  '자극적' 인 음식을 즐기는게 원인이다.
소화불량, 식욕부진, 만복감, 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등이 주된 증상이며 모호한 증상도 부지기수다.

 

만성위염은 보통 위산이 많은 줄로 알고 있으나 저(低)산증, 무(無)산증, 과(過)산증으로 세분한다.

1. 과산증... 위액분비를 자극하는 식품을 제한한다.
2. 저산증... 향신료, 식전 알코올 음료, 스프, 과일 등을 적당히 섭취하여 증상을 완화한다 
3. 무산증... 인공 위액(베타인 염산) 섭취.  의사처방 필요하다.

저, 무산증은 위산의 분비부족으로 위에 들어온 세균들이 음식물을 부패시키면서 가스를 만든다. 
동양인은 과산증으로 인한 위염 위궤양 보다는 '저/무산증' 과 위무력증이 겹쳐진 형태의 위장질환이 흔하다.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식사요법이 필요하다.

<>위, 십이지장궤양 =  위산과 펩신 영향으로 위,십이지장의 점막이 헐고 궤양이 생긴 것임. 

자극적이고 소화가 어려운 식품을 제한한다.  과거에는 죽, 미음처럼 위를 자극하지 않는 부드러운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권장했다. 그러나 통증이 심할때만 절식하고, 평상시에는 위산을 과다유발

하는 다음과 같은 몇몇식품만 제외하고는 개인 취향대로 하도록 권하고 있다.

- 알코올, 카페인 음료 등 위산분비를 자극하는 음식은 제한한다.
- 고춧가루, 후추 등 자극이 강한 향신료를 절제한다.
- 거칠고 딱딱한 음식은 삼간다.
- 튀기거나 말린 음식도 가급적 피한다. 
- 먹으면 속이 불편해지는 음식은 삼간다. 

[출처] 위궤양의 식사요법과 예방법|작성자 그녀

--------------------------------------------------------------------------------------------------------------------------


저산증


위액 중에 위산이 없거나(무산증) 적어진 상태(저산증)라고 의학적으로 정의한다.

나이가 들면 위산이 적게 분비되기 때문에, 60세 이상 노인 약 절반은 저산증 증세를 보인다. 

소화불량이나 여러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났을 때, 여러 검사를 하고도 진단을 못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후에 추가 검사로 저산증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저산증 자체가 위암을 유발 하기도 한다. 

 

증상

 

특이한 것은 없으나 대개 명치가 답답하거나 아프며 식욕부진 및 소화 장애, 식후 더부룩한

복부 팽만감, 잦은 트림, 속쓰림의 위염증세를 보인다.  설사, 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변으로

나오거나, 변비, 기운이 없는 증상이 수반된다.  중증일 경우 지방이 많은 음식을 섭취 후 오심과

통증이 유발된다. 그 밖에 흉통 및 두통이 나며 불면증과 빈혈이 일어나기도 한다.

 

원인

만성 위염, 특히 위점막이 위축되는 '위축성 위염'의 결과로 위산이 적게 나오는 것이다. 

위절제 수술 후에 위선이 황폐해져서 나타나기도 한다. 

위장질환, 간질환, 당뇨병, 신장염 등이나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도 위산분비가 정지되기도 한다.

 

고지방, 저섬유소 식이 등 잘못된 식사가 유발 인자로도 작용하며, 가령(45세부터 위산 분비 감소)에 의한

노화 반응으로 나타난다. 자가 면역 질환, 악성 빈혈로 위벽세포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서 나타날 수 있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으로 인해 위산이 중화되어서 산도(pH)가 떨어질 수 있다.

H2 억제제,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같은 위산 분비 억제제의 사용으로 유발될 수 있다.

위암이나 위를 포함한 방사선 치료 후에도 나타난다.

 

병리기전

위(stomach)는 강한 산성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크게 네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단백질 소화는 강산이 필요하다. 위산이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활성화해서(펩시노젠 -> 펩신)

위장관에서 단백질 소화흡수를 돕는다. 단백질 분해효소가 활성화되지 못하면 소화불량에 걸린다.


둘째, 위 내용물을 비우는 데 위산이 필요하다. 위산의 산도가 떨어지면 위-식도 역류 질환을 야기한다.

셋째, 위산은 섭취한 음식물의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시킨다.

넷째, 미량 원소의 흡수에 필요한데 칼슘, 마그네슘, 아연, 구리, 철, 셀레늄 이다.

 

 

저산증은 음식물의 소화장애를 유발한다. 먼저, 단백질의 흡수 장애를 유발한다. 

둘째, 미량 원소의 흡수 장애를 유발하며, 이로 인해 노화가 촉진될 수 있다. 

셋째, 위 내용물의 살균 장애로 인해 위나 십이지장에서 세균 과다증식이 일어날 수 있다.  위장관염등 감염성 질환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런 세균의 과다 증식은 잘 발견되지 않으며, 성인에서의 가장 흔한 소화흡수불량의 원인이 된다. 섭취한 영양분에 대한 세균과 인체의 경쟁으로 영양분 흡수가 저하되어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한 질병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런 환자에서는 만성 설사, 지방 변, 빈혈, 체중 감소 증상이 나타난다.

넷째, 위암 위험도가 증가된다.  저산증이 지속되어 위점막이 장점막 세포로 재생되는 장상피화생이 발생되며,


심해지면 변형된 세포(이형성 세포)가 출현하며 이런 세포가 위암세포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저산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에 하나인 '위축성 위염' 이 10년 이상 지나면 1년에 약 150명 당 한 명 정도 위암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소 1 년에 한 번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다섯째, 비타민 B12의  흡수장애를 유발한다. 저산증에서 비타민 B12 흡수에 필수적인 내인자(intrinsic factor)

부족이 원인이다.  비타민 B12 결핍은 혈액학적 이상 과 신경정신계 이상소견을 유발할 수 있다.

혈액학적 이상 소견은 빈혈, 적혈구 평균 용적률의 증가, 백혈구와 혈소판 수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정신학적 이상 소견은 사지 감각 저하 및 이상 감각, 발기 부전이나 시신경 위축, 환각이나 치매, 우울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저산증과 관련된 질환은 천식, 만성 피로증후군, 당뇨, 악성 빈혈, 위식도 역류, 류마티스 관절염, 위궤양/헬리코박터 균, 골다공증, 빈혈, 여드름,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루푸스, 두드러기, 갑상선 이상 등이 있다.

 

 

진단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서 위산분비가 결핍되어 있다는 것을 반드시 밝혀 낼 필요는 없다.

저산증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는 '기초 위산분비량' 을 측정하는 것이다.

저산증은위액의 산도를를 측정해서 pH4 이상일 때 진단을 내릴 수 있는데, 공복시와 시험 음료를 마신 다음에 위산 분비를 촉진시킨 후 위액을 검사한다. 


위액은  내시경 검사시 흡인하여 검사, 또는 하이델버그 위액 검사법(Heidelberg Gastric Analysis test)이라 해서 센서가 내장된 캡슐을 삼켜서 위액의 산도를 측정하거나, 비위관을 사용하여 위산도를 측정하는 카츄이다크법(Katsch Kalk)이 있다. 혈청 검사는 무산증 환자의 90%에서 H+/K+ATPase 양성자 펌프에 대한 항체가 발견된다. 기타, 높은 혈청 가스트린 수치 ( >500-1000pg/mL ) 와 낮은 혈청 펩시노겐 A (pepsinogen A;PgA) 수치 ( < 17mcg/L ) 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저산증과 동반되기 쉬운 세균 과다증식은 위액을 흡인하여 배양 검사를 해서 확진을 내린다.

 

치료와 예방

저산증은 다른 질병상태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원인질환을 찾아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자극적인 음식(술, 탄산음료, 담배, 각종 향신료 등) 이다. 

진통소염제에 의한 만성 위염은 유발 음식이나 약제를 중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산제나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같은 위산 분비 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는 용량을 줄이거나 중단한다. 세균 과다 증식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영양 보충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은 제균요법을 고려한다.

악성 빈혈이 원인인 경우에는 정기적인 비타민 B12를 주사한다. 단 기존의 이상소견을 크게 호전시키지 못하며, 위축성 위염, 위암발생을 예방시키지 못한다.

대증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위 부담을 가볍게 하는 음식을 잘 씹어 먹고, 단단하고 소화하기 힘든 음식은 피하며

1회 식사량을 적게 한다. 섬유가 많은 채소는 부드럽게 익혀 먹고 고기는 갈아서 먹는다.

식사 중 물을 마시지 않는다. 국물마시는 것을 억제하고, 지방 섭취량도 줄여야 한다.


감식초, 레몬식초 등을 먹거나, 담즙 소화효소제가 도움이 된다. 

미네랄 제재나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종합비타민 제재 도움이 된다

술이나 담배는 증상 악화 원인이 되므로 끊는다. 

예후는 원인 질환이 무엇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장기간 저산증으로 위암이나 위점막 세포 증식을 유발할 수 있다.

만성 위축성 위염의 예후도 '원인인자' 가 제거된 경우는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위암이나 수술 등이 저산증의

원인인 경우는 예후가 좋지 않다.

위산분비 억제제를 복용하는 사람이면 이런 약물들을 끊음으로써 위산도가 정상으로 회복할 수 있다. 세균의

과다 증식이 동반된 경우에는 만성화가 되며, 1~6개월 간격으로 재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런 세균의 과다 증식은 결핍된 영양분의 보충만으로는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주기적인 항생제 치료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13. 황정운. 무산증 및 저산증 임상증상에 관한 검토. 대한내과학회지 1965;8(4):p.211-218
1. www.thehormonediet.com/wp-content/uploads/2009/03/the-hormone-diet-hcl-challengewithhf.pdf
2. Gledhill T., Leicester RJ. Epidemic hypochlorhydria. Br Med J (Clin Res Ed). 1985 May 11;290(6479):1383-6.
3. David C. Metz. Advances in GERD: Long-term use of proton-pump inhibitor therapy.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Vol.4, Issue 5 May 2008;322-325.
4. www.biol.wwu.edu/lapsansk/349/HCL%20Deficiency.ppt
5. www.nutritional-healing.com.au/content/articles-content.php?heading=Stomach%20acid%20deficien
cy%20(Hypochlorhydria)
6. www.naturalmeds.co.nz/Conditions/Hypochlorhydria.htm
7. en.wikipedia.org/wiki/Achlorhydria
8. www.prohealth.com/library/showarticle.cfm?id=8571&t=cfids_fm
9. www.herbsmd.com/cure103/Hypochlorhydria.html
10. www.badbreathhalitosis.com/article.php/Hypochlorhydria-PossibleCauseofBad
11. www.mdguidelines.com/achlorhydria-and-hypochlorhydria
12. Radebold, Klaus. "Achlorhydria." eMedicine. Eds. David Greenwald, et al. 11 Jul. 2002. Medscape. 20 Dec.
2004 http://emedicine.com/med/topic18.htm.

*********************************************************************************

(참고)

무산증 Achlorhydria

Absence of HCl in the stomach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cells of the stomach found in the condition of pernicious anemia, crcinoma of the stomach, and also in some cases of aging.

위장 세포의 비정상으로 위장에 염산이 없는 상태. 대적혈구성 빈혈이나 위장의 악성종양, 일정부분 '인체노화'에서 비롯됨.   

(  ->위산 부족증 hypoclorhydria -저산증/위산결핍증- 에서는 비타민 B12, 철분, 칼슘의 흡수가 힘듬)

 

위액 분비

분비

위는 하루에 1,500∼3,000ml의 위액을 분비하며 주요 분비액은 염산, 펩시노겐, 점액이며, 이외 뮤신, 내인자,
리파아제, 펩시노겐, 단백질 등이 있습니다. 위산 분비액은 위의 팽만과 음식물의 단백질 성분에 의해
직접적인 자극을 받으며 미주신경의 활동,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및 가스트린 등에 의해서도 자극받습니다.

소화호르몬과 소화효소

종  류

분비장소

작  용

가스트린(Gastrin)

유문동 주세포
 
십이지장 점막

 ㆍ염산, 펩신, 췌장 효소 분비 자극
 ㆍ위점막의 성장 촉진
 ㆍ담즙 흐름 증진, 위장 운동 증가
 ㆍ하부식도 조임근의 수축력 증가

세크레틴(Secretin)

십이지장 점막

 ㆍ알카리성 췌장액 분비 자극
 ㆍ위산 분비 감소
 ㆍ췌장의 소화효소와 간의 담즙 분비 자극
 ㆍCCK 분비 촉진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CCK)

십이지장
  
공장의 점막

 ㆍ세크레틴 분비 촉진
 ㆍ담낭수축 자극하여 담즙 분비 자극
 ㆍ위배출 시간 억제
 ㆍ펩신의 분비 자극
 ㆍ소장의 운동 자극

Ptyalin(타액 Amylase)

귀밑샘, 턱밑샘

 탄수화물(전분) 가수분해하여 다당류를 이당류로 만듬

췌장 Amylase

췌장

 탄수화물(전분) 가수분해하여 다당류를 이당류로 만듬

Maltose

장점막

 Maltose와 Maltostriose를 분해하여 glucose로 만듬

Lactose

장점막

 Lactose를 분해하여 galactose와 glucose로 만듬

Sucrase

장점막

 Sucrose를 분해하여 glucose와 fructose로 만듬

펩신(Pepsin ⅠⅡⅢ)

위점막의 주세포

 단백질을 분해하여 polypeptides로 만듬

엔테로키나제(Enterokinase)

십이지장 점막

 트립신을 활성화시킴

트립신(Trypsin)

췌장

 polypeptides chain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으로 만듬

 

위액분비의 3단계
  ① cephalic phase(뇌상, 신경성)  
    - 미주신경에 의해 조정되는 뇌속의 수용체에 의해 위액 분비가 좌우
    - 산(acid), 펩신, 점액이 분비
    - 이 단계에서는 배고픔, 음식의 모양이나 냄새, 음식에 관해 생각하거나 얘기하는 등으로도
       위액 분비가 자극
  ② gastric phase(위상)
    - 음식물이 유문동에 도달할 때 일어남
    - 미주신경반사, 국소 장반사, 가스트린이 유문동의 벽세포를 자극하여 염산이 분비
    - 이 단계는 위액의 산도가 1.5나 그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지속.
  ③ intestinal phase(장상)
    - 신경과 호르몬기전을 포함하며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들어감으로써 자극되어 약간의 가스트린 분비
    - 펩신과 점액을 포함하는 위액을 분비하도록 자극

▶ 위액 분비를 억제하는 것
    - 미주신경의 자극 억제
    - 음식물의 삼투질 농도의 증가
    - 지방 물질
    - enterogastrone 호르몬
    - 혈액 순환의 변화
    - 위염 등의 염증
    - 십이지장의 산도가 1.5나 그 이하일 경우
    - 유문동의 산도가 3.0정도일 때
    - 소장내의 호르몬 기전
    - 십이지장으로부터의 세크레틴과 콜레시스토키닌(CCK) 방출 : 위액 분비와 위운동을 억제하므로
       위 배출 속도가 늦어지고 소화작용을 억제하며 췌장 효소의 활동은 촉진

---------------------------------0 -----------------------------------0 ----------------------------------

 

위의 기능 및 운동

기능

  ● 음식물을 저장하고 위액과 혼합하여 유미즙 상태로 만들어 일정한 속도로 십이지장으로 배출.
  ● 단백질 분해 시작
  ● 탄수화물은 구강에서 ptyalin에 의해 시작되어 30분 정도 지속되며 위산에 의해 ptyalin이 불활성화
      될 때까지 계속
  ● 물, 알콜, 포도당(glucose)이나 어떤 약물 등은 소량만이 위점막을 통해 흡수
  ● 지방의 소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 대부분의 미생물은 위산에 의해 파괴

 

혈액 공급
위의 혈액공급은 복강동맥(celiac artery)에 의해 이루어지며 작은 만곡과 큰 만곡으로 퍼져 나간다.
위동맥은 비장동맥에서 공급받아 위 기저에 혈액을 공급하고 위정맥은 문맥으로 배액됩니다.
왼ㆍ오른 위대망정맥(gastroepiploic veins)은 큰 만곡부의 정맥으로 배액되고 오른 위정맥과 관상정맥은
작은 만곡의 정맥으로 배액됩니다. 위의 임파절은 점막하 조직 안에 있으며 흉관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신경 지배
위는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으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길항작용을 합니다.

그 외, 위장자체의 신경(체성신경)이 있어서, 이로 인하여 위장 연동운동이 일어난다는 놀라운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으며, 부교감신경과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하였습니다.

  ● 미주신경 : 부교감 신경의 지배, 위산과 가스트린, 펩신등의 위액 분비와 위의 활동을 증가
  ● 큰내장 신경과 복강신경절 : 교감신경(위액 분비와 위 운동을 억제)의 지배
  ● 연동운동조절(Auerbach''s plexus) : 세로근육층(longitudinal muscle layer)과 돌림근육층
      (circular muscle layer)사이에 위치 이 곳이 자극되면 위 운동 자극으로 위 근육 수축의 강도 증가 &
      유문동에서 가스트린 분비 자극
  ● 감각기능조절(Meissner''s plexus) : 점막밑조직에 위치, 위 점맥의 분비와 위 근육의 운동을 조절

 

운동

위는 십이지장이 위 내용물을 전달받아 소화액을 잘 섞을 수 있도록 조절하면서 비우며, 위 내부의 압력은
위근육의 긴장성 수축(tonic contraction)에 의해 유지됩니다. 위의 율동적인 연동운동과 위벽의 주름은
유미즙을 혼합시킵니다. 연동운동은 위기저부에서 매 20~30초마다 시작되어 유문동을 거쳐 유문부로 계속되
유문내 유미즙등의 압력증가나 십이지장내 알칼리환경에서 유문조임근이 열리고 유미즙/음료수등이 통과하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조임근이 닫히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위내의 모든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될 때까지 계속됩니다.

▶ 유미즙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음식물의 점도, 양, 물리적인 상태, 삼투질 농도, 음식의 산도, 소장의 수용능력
   - 운동, 약물, 감정상태, 통증, 체위, 충분한 수면...그 밖의 다른 화학적, 기계적 요인들

 ----------------------------------------------자료 추가-----------------------------------

 

 

CCK(콜레시스토키닌)

십이지장 공장에서 분비되는 펩티드.

주작용:

담낭수축자극 , 췌장효소 분비자극, 세크레틴의 작용상승, 위배출 억제

 

Secretin

상부 소장의 s세포에서 분비

십이지장에 Ph 4.5 이상 되는 강산이 유입되면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넣어줘야 하는 데, 이 때 분비.

주작용:

CCK의 기능촉진

위산분비 억제

펩시노겐 분비 촉진

유문 괄약근 수축

췌장 전해질 분비 촉진.

 

GIP(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십이지장 과 공장에서 발견

십이지장 내 유입된 포도당과 지방에 의하여 분비 촉진.

주작용:

위액분비 와 위 운동을 억제함.  고혈당 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함.

 

출처 : Nurscape



 

 

                       

'운동과 삶 &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시합을 즐긴다 함은,  (0) 2010.12.22
노년기 영양관리  (0) 2010.12.20
코큐텐 (Co Q-10) 이란? 특히 여자한테 도움된다.  (0) 2010.11.05
똥, 색깔 (펌)  (0) 2010.10.08
자율신경 실조  (0) 201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