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과유불급'은 둘 다 마찬가지란 뜻

참 나 2009. 6. 19. 12:35

한자 중에서 그다지 친숙하지 않은 '유猶'자... a) 오히려 猶, b) 같을 猶 (=원숭이 猶)

 

과유불급 過猶不及 
흔히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 로 크게 잘못알고 사용하고 있는 말입니다.  
이것은  지나침은 모자람이나 마찬가지다 가 의 올바른 해석일껍니다. 

(辭典에는 '지나침은 모자란 것과 같다'로 풀이했으나 이 때의 '같다' 는 

'똑같다' 는 뜻 보다는 '유사하다' 즉, '원숭이는 사람 같다' 의 뜻이다...) 
 
같을 유猶.

'같을 유猶' 라고 해서 '똑 같은 것'으로 해석한다면, 역시 삼천포로 빠지는 겁니다. 
A와 B는 '똑 같다'... 그렇다면 굳이 유猶 자가 아닌 다른 한자를 썼겠지요? '卽'이라던가.
猶는 '똑같다' 보다는 '마찬가지다, 그 쯤된다'는 뜻으로 봐야한다!   
원숭이 猶는 '흉내낸다, 닮다' 는 뉘앙스겠지요?
 
어느날 '어짐 仁' 에 대하여 묻는 제자한테 스승 공자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답니다.    
a.질문... (제자 중에서) A가 어집니까 B가 더 어집니까?   
b.孔子... A는 좀 지나치고(과.過) B는 못미치는(불급.不及)구나
a.질문... A가 B보다 낫다는 말씀?  
b.孔子... "過 猶 不及"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누가 더 나은지를 재차 묻는 제자한테 '둘 다 마찬가지!' 라고 스승이 대답한 것입니다.
仁.
어질 인...남을 생각할 줄 아는 마음이란 뜻인데, 어질다는 것은 어른된 모습을 말합니다.    
지나치게 남의 입장을 헤아리는 '제자 A' 와 남의 입장을 잘 헤아릴 줄 모르는 '제자 B' 를 놓고,

'A 가 B 보다 못하다...' 그런 야박한 평가를 했으리오?  또한, A 나 B나 '똑같다'...라 한다면

굳이 미적지근하게 '유猶' 자를 골라서 쓰진 않았겠지요?  

따라서, 과유불급의 올바른 새김은 '지나친 것이나 모자란 것이나 마찬가지다' 끝.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누구인가? 너 자신을 알라!  (0) 2009.08.19
아등바등 살 것인가?  (0) 2009.07.22
속담의 깊은 뜻  (0) 2009.06.04
추모열풍 감상법  (0) 2009.05.27
좀 더 '소프트' 한 삶은 없는가?  (0) 2009.05.25